카테고리 없음

VirtualDub에서 MOV, WMV 파일 편집하기 유튜브 flv를 avi로 변환하여 저장시켜주는 freecorder

hyperspace 2011. 6. 27. 16:03
VirtualDub에서 MOV, WMV 파일 편집하는 방법입니다. 네이버 지식IN에서 퍼온 것을 나름대로 정리한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VirtualDub에서는 AVI나 MPG 파일만을 불러 올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제부터 설명해드릴 방법으로 MOV나 WMV 파일도 불러 들여 편집을 할 수 있습니다. 먼저 필요한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습니다.

  • AviSynth
  • QuickTime DirectShow codec

AviSynth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VirtualDub에서 동영상 파일을 DirectShow 를 이용하여 디코더가 깔려 있다면 어느 코덱이던지 불러올 수 있습니다. AviSynth는 다음의 위치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후 설치합니다.

QuickTime DirectShow codec은 QuickTime Alternative를 설치하면 같이 설치됩니다. 다음의 위치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설치 시에 'Quicktime directshow' 항목에 체크가 되어 있는지 확인하시고 되어 있지 않다면 체크하고 설치합니다. DirectShow codec을 설치하면 대중적인 동영상 플레이어인 곰 플레이어에서도 MOV 파일을 재생할 수가 있습니다.

위 두 프로그램을 설치하였다면 필요한 프로그램은 모두 설치된 것이고 AviSynth를 이용하여 MOV 파일을 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코드가 삽입된 텍스트 파일을 만듭니다. 메모장(Notepad)를 이용하면 됩니다.

DirectShowSource("파일이름.mov")

저장할 때 확장자명을 txt로 하지 말고 avs라고 합니다. 즉, *.avs 여야 합니다. 또한 AVS 파일은 불러오려고 하는 동영상 파일과 같은 폴더 내에 존재해야 합니다.

그 다음에 VirtualDub을 실행합니다. 파일 메뉴의 비디오 파일 열기를 눌러 방금 작성한 AVS 파일을 불러옵니다. 그럼 MOV 파일을 불러 오게 됩니다. 그 후엔 자유룝게 VirtualDub의 기능을 이용하여 편집 가능합니다.

간혹, MOV 파일의 프레임이 100 정도인 파일이 있는데 열이면 아홉 유효하지 않은 프레임 수이므로 AVS 파일을 만들 때 FPS 값을 지정해 줄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추가적인 옵션을 주면 됩니다.

DirectShowSource("파일명.mov", fps=30)

위의 예에서 FPS 값을 30으로 줍니다. 그러면 프레임 수를 30으로 고정시켜 주게 됩니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영상과 사운드의 싱크가 맞지 않게 됩니다.

WMV 파일도 대동소이한 방식으로 불러올 수가 있습니다. AVS 파일을 작성할 때 다음과 같은 라인을 삽입하면 됩니다.

DirectShowSource("파일명.wmv", convertfps=true)

이렇게 하여야 편집하고 나서 사운드와 영상이 싱크가 맞게 됩니다.

Vixy

  일전에 "
Youtube에 올린 동영상을 내 하드디스크로..."라는 강좌를 통해 Youtube에서 제공하는 동영상을 내 컴퓨터로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드린적이 있습니다. 이 강좌의 내용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Youtube에서 자신이 원하는 동영상을 찾은 후, 그 동영상의 실제 주소를 복사한 다음 "http://video.qooqle.jp/dl/"을 방문해 해당 주소를 붙여넣으면, 동영상을 다운받을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이었습니다. 하지만, 다운받은 동영상이 FLV 즉, 플래시를 기반으로 한 동영상 코덱이기 때문에 KM 플레이어 또는 FLV 전용 플레이어를 설치해야만 감상할 수 있어 일반 사용자가 이용하기에는 접근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오늘은 이런 FLV 파일을 간단하게 AVI 파일로 변환해주는 웹 사이트 Vixy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 홈 페이지 : http://vixy.net >


 


현재는  freecorder     배포중